일반의지
시민 전체의 의지를 우리는 루소는 일반의지라고 불렀습니다. 때문에 그는 의회제나 정당정치에 좌우되지 않고 일반의지에 기초한 통치야말로 이상적이라고 봤습니다. 일본의 철학자 아즈마 히로키는 오늘날의 발달된 기술과 네트워크를 활용하면 일반의지의 개념정립이 가능할지도 모른다는 말을 했습니다. 이 말인즉슨 정보 통신 기술의 힘으로 고대 그리스의 직접민주제를 더욱 세련된 형태로 부활시킬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것입니다.
과연 이런 일반의지를 이해하는 시스템을 누가 만들고 운영할까요? 이에 가장 근접한 존재는 구글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구글은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을 불특정다수에게서 뽑아내는 기술의 대표적인 성공사례입니다. 이런 구조를 확장시켜서 사회를 운영하는데 필요한 의사결정에 활용할 수 있지 않을까하는 이야기가 있는 것이죠. 그러나 구글의 알고리즘과 시스템은 극히 소수, 이른바 테크노크라트(technocrat. 기술관료)에 의해 운영된다는 아이러니가 존재합니다. 직접민주제와 테크노크라시는 양립할 수 없는 개념이니까요. 때문에 이 일반의지를 수렴하기 위한 시스템과 알고리즘이 극히 일부인원에 의해 통제된다면 그 시스템에서 출력되는 일반의지가 정말로 시민의 의지를 대변하는 것인지 아무도 알 수 없게 됩니다. 이 '극단적인 정보의 비대칭성'을 내포한시스템이 절대적인 힘을 갖게 될 경우 「1984」의 빅브라더같ㅇ은 절대권력의 함정에 빠질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루소는 다음과 같이 말한 바 있습니다. "일반의지가 개인에게 죽음을 명령하면 개인은 그에 따라야한다." 때문에 버트런드 러셀은 "히틀러는 루소의 귀결이다." 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독재자가 일반의지를 '전횡의 방편'으로 이용했다면 그 행위만으로 공격의 대상이 되기 때문입니다. 개인의 인격과 견해가 반영되지 않은 집합적 의사결정 시스템에는 위험성이 잠재되어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인의 의사결정과 비교되지 않을 정도로 질높은 의사결정이 가능합니다. 때문에 현대사회의 운영방식과 일반의지에 기초한 시스템의 운영방식, 그 사이의 절충안을 만들어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공부 > 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학] 돌연변이가 발생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0) | 2022.04.29 |
---|---|
[철학] 머리로 생각할 수 있는 최적의 방법에는 한계가 있다 (0) | 2022.04.28 |
[철학] 독재에 의한 질서 vs 자유가 있는 무질서 (0) | 2022.04.26 |
[철학] 시스템은 어떻게 인간을 소외시키는가 (0) | 2022.04.25 |
[철학] 안정이 계속될수록 축적되는 리스크 (0) | 2022.04.23 |